실학성세 4.0!

지역가치창출, 학생중심 특성화ㆍ교육 혁신대학

상세보기, 제목, 내용, 파일, 작성자등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제목 2025-2학기 전임교원 제1차 채용 공고문

 

2025학년도 2학기

전임교원 제1차 채용 공고문

 

 

 

공개채용

정년트랙 교원: 5

 

단과

대학

학과

채용트랙

채용인원

채용 분야

계열

부가요건

(“-”는 필수, “*”는 우대요건)

경상대학

무역학과

정년트랙

(신임 일반)

1

국제경영 분야

인문사회

- 채용 분야 박사학위 소지자

* 무역실무 및 상품학 강의 경력자 우대

공과대학

전기제어공학과

정년트랙

(신임 일반)

1

전기공학

일반

공학

- 채용 분야 박사학위 소지자

* AI모빌리티 및 자율주행, 센서 및 신호처리, 시스템 제어 분야 전공자 우대

* 전력시스템 해석 및 제어 분야 전공자 우대

(AI 기반 신재생에너지, 스마트그리드 등)

* 관련 분야 연구원 및 인력양성 사업 경력자 우대

예술대학

공예디자인학과

정년트랙

(신임 일반)

1

유리공예 (블로잉)

예체능

- 채용 분야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

- 채용 분야 석사학위 취득 후 교육경력 5년 이상인 자

- 채용 분야 포트폴리오(블로잉 기법 한정) 제출

* 채용 분야 박사학위 소지자 우대

* 공예디자인 관련 이론교육 경력자 우대

* 창업지도 경력자 우대

예술대학

디지털미디어디자인학과

정년트랙

(신임 일반)

1

UI·UX디자인

예체능

- 채용 분야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

- 채용 분야 산업체 실무경력 3년 이상인 자

- 포트폴리오 제출 필수

* 채용분야 5년 이상 실무 프로젝트 경력자 우대

* 채용분야 강의 경력자 우대

직할학부

무인항공기학과

정년트랙

(신임 일반)

1

(무인) 항공기

시스템

공학

- 항공우주공학분야 박사학위 소지자

* 항공우주분야 산업체, 연구소 실무경력 2년 이상인 자우대

* 구조 또는 공탄성 분야 전공자 우대

 

 

* 참고) 신임 일반 지원자: 조교수의 자격을 갖춘 자

 

·박사 학위과정 재학 기간(성적증명서에 표기되는 재학 학기)이 실무 경력 또는 교육 경력과 중복되는 경우 지원자에게 유리한 어느 한 쪽만 인정함

응모 자격 심사시 실무 경력 기간과 교육 경력 기간이 중복되는 경우 지원자에게 유리한 어느 한 쪽만 인정함

예술대학의 경우 공개강의 시 실기전형 시행 여부는 공개강의심사대상자 발표시 해당 학과에서 통보 예정

 

 

 

 

 

 

비정년트랙 산학협력전담교원 : 2

 

단과

대학

학과

채용트랙

채용인원

채용 분야

계열

부가요건

(“-”는 필수, “*”는 우대요건)

공과대학

시스템반도체공학과

비정년트랙

(신임 일반)

1

디지털

IC 설계

공학

- 채용 분야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

- 채용 분야 석사학위 취득 후 교육 또는 연구경력 2년 이상인 자

- 채용 분야 산업체 실무경력 10년 이상인 자

* 반도체 관련 산업체 경력 10년 이상인 자 우대

* 채용 분야 교육 경력 3년 이상인 자 우대

직할학부

항공서비스학과

비정년트랙

(신임 일반)

1

항공

서비스

인문사회

- 채용 분야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

- 채용 분야 산업체 실무경력 10년 이상인 자

* 항공사 객실 사무장 또는 관리자 경력 소지자 우대

* 항공 관련 자격증 소지자 우대

* 항공 관련 교육 경력 2년 이상인 자 우대

 

 

* 참고) 신임 일반 지원자: 조교수의 자격을 갖춘 자

 

·박사 학위과정 재학 기간(성적증명서에 표기되는 재학 학기)이 실무 경력 또는 교육 경력과 중복되는 경우 지원자에게 유리한 어느 한 쪽만 인정함

응모 자격 심사시 실무 경력 기간과 교육 경력 기간이 중복되는 경우 지원자에게 유리한 어느 한 쪽만 인정함

 

특별채용

정년트랙 : 3

 

단과

대학

학과

채용트랙

채용인원

채용 분야

계열

부가요건

(“-”는 필수, “*”는 우대요건)

공과대학

데이터사이언스학과

정년트랙

(신임 일반,

산업체 경력)

1

데이터

사이언스

공학

- 채용 분야 박사학위 소지자

* 데이터베이스, 수리통계학, 자연어처리, Python, R,

하둡(Hadoop) 강의 가능자 우대

* 관련 정부기관 및 연구소 근무 경력자 우대

공과대학

인공지능소프트웨어학과

정년트랙

(신임 일반,

경력 일반,

산업체 경력)

1

컴퓨터공학

공학

- 채용 분야 박사학위 소지자

* 컴퓨터공학 관련 강의경력 3년 이상인 자 우대

* 인공지능 강의 경력자 우대

* JAVA 프로그래밍언어 강의 경력자 우대

* 웹프레임워크 개발 경력자 우대

공과대학

전자공학과

정년트랙

(신임 일반,

경력 일반,

산업체 경력)

1

전자공학

(디지털

시스템설계)

공학

- 채용 분야 박사학위 소지자

* 산업체 경력자 우대

*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 전공자 우대

 

 

채용트랙에서 선택가능한 지원구분(신임 일반/경력 일반/산업체 경력)을 확인 후 신임 일반/ 경력 일반/ 산업체 경력 중 본인이 유리하다고 판단되는 쪽으로 지원

* 참고)

- 신임 일반 지원자: 조교수의 자격을 갖춘 자

- 경력 일반 지원자: 3년 이상, 7년 이상(조교수 4년 이상 재직 경력 포함), 12년 이상(부교수 5년 이상 재직 경력 포함) 4년제 대학 전임교원(정년트랙)으로 근무한 자

- 산업체 경력 지원자: 산업체 경력 지원자는 연구 실적을 실무성과실적 평가로 대체하며, 연구업적 또는 외부연구비 실적의 최저 기준을 적용받지 않음. 조교수의 자격을 갖춘 자

·박사 학위과정 재학 기간(성적증명서에 표기되는 재학 학기)이 실무 경력 또는 교육 경력과 중복되는 경우 지원자에게 유리한 어느 한 쪽만 인정함

응모 자격 심사시 실무 경력 기간과 교육 경력 기간이 중복되는 경우 지원자에게 유리한 어느 한 쪽만 인정함

 

1. 지원 자격

 

. 공통사항

1) 고등교육법16, 고등교육법 시행령5, 대학교원 자격기준 등에 관한 규정2조의 자격

기준을 갖춘 자

2) 대학교원 자격기준 등에 관한 규정12조에 따른 결격사유가 없는 자

3) 본교 교원인사 규정에서 정한 임용에 결격사유가 없는 자

 

. 정년트랙 교원

1) 육공무원법상 교수 임용에 결격사유가 없는 자로 관계 법령에 의거 교수 임용 자격을 소지한 자

2) 자격요건

) 박사학위를 자격 기준으로 채용하는 분야

- 임용일 기준 박사학위를 소지한 자로 부가 요건 중 필수 요건에 해당하는 자

) 석사학위 이상을 자격 기준으로 채용하는 분야

- 석사학위 취득 후 교육 및 연구경력이 2년 이상([붙임 2-1] 연구실적 및 교육경력 환산표 참고)인 자로 부가 요건 중 필수 요건에 해당하는 자

3) 연구실적

) 공개채용

- 공고일 기준 최근 4(2021. 6. 18.~2025. 6. 17.) 이내의 연구업적 실적 또는 외부연구비 수주 실적이 아래 기준을 충족한 자에 한하여 본교 규정에 의거 심사

 

계열

연구업적 최저 기준 / 외부연구비 수주 실적

인문사회계열

최근 4년 이내 제1저자 또는 교신저자로 SCI급 논문 1편 이상이거나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단독으로 2편 이상인 자

최근 4년 이내 외부연구비 수주실적 3,000만원 이상인 자(연구책임자에 한함)

자연과학계열

최근 4년 이내 1저자 또는 교신저자로 SCI급 논문 1편 이상인 자

최근 4년 이내 외부연구비 수주실적 5,000만원 이상인 자(연구책임자에 한함)

공학계열

최근 4년 이내 1저자 또는 교신저자로 SCI급 논문 2편 이상인 자

최근 4년 이내 외부연구비 수주실적 7,500만원 이상인 자(연구책임자에 한함)

) 상기 외부연구비 수주실적은 정년트랙 일반교원 지원 자격심사에 한하며, 서류심사 평정방법은 본교 교원신규임용시행세칙의 평가기준에 의거 평정

 

) 특별채용

- 신임 일반 및 경력 일반 지원자: 공개채용 기준 적용

- 산업체 경력 지원자: 연구실적을 실무성과실적 평가로 대체(실무성과실적은 우리 대학 내부 기준에 따라 평가하며 최저기준은 없음)

 

. 비정년트랙 산학협력전담교원

1) 교육부 산학협력중점교수 인정기준에 부합하며 육공무원법상 교수임용에 결격사유가 없는 자로 관계법령에 의거 교수임용자격을 소지한 자

2) 자격요건

) 해당 분야 석사 이상 학위를 소지한 자로 채용 분야 관련 산업체 경력이 10년 이상인 자

) 산업체 경력 인정기준(대학교원 자격기준 등에 관한 규정 제4조에 따른 연구기관 등의 지정에 관한 고시4)

(1) 대학에서 담당할 전공분야를 국가기관(시설 및 군경력 포함)에서 당해 전문지식을 필요로 하는 직무에 전임으로 종사한 경력

* 고등학교 및 대학에서 교원 또는 직원으로 근무한 경력, 대학에서 근무한 전임연구원 및 박사 후 연구원 경력(Post-Doc)은 산업체경력에 포함되지 않음

(2) 대학에서 담당할 전공분야를 국가기관에 준하는 기관(국영기업체 또는 공공단체)에서 전임으로 종사한 경력

* 종 협회 및 민간단체 근무 경력, 비영리(재단, 사단)법인 또는 비영리민간단체지원법에 의해 소관 부처에 등록된 단체라면 민간 산업체에 포함함. , 근무경력이 대학에서 담당할 분야와 관련된 직무인 경우만 인정 가능함

(3) 민간 산업체에서 대학에서 담당할 전공분야와 관련된 직무에 전임으로 종사한 경력

3) 재임용시 산학협력 연구비 수혜실적 최저기준 확인 필요

 

* 주대학교 홈페이지 규정집 - 비정년트랙 전임교원 인사에 관한 시행세칙 제6조 및 [별표4] 참고

6(재임용) 산학협력전담교원의 경우 별표 4의 산학협력전담교원 재임용 업적 기준 유의사항 3번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재임용하지 않는다.(신설 2020. 7. 14.)

[별표 4] 산학협력전담교원 재임용 업적기준(산학협력업적 점수는 2년 기준임)

 

영역

계열

1단계평정

2단계평정

3단계평정

비고

교육업적

산학협력업적

인문·사회/·체능

24

30

230

16

300

 

자연/공학

24

30

460

16

530

 

 

유의사항

1) 교육업적점수가 부족할 경우 산학협력업적 점수로 대체할 수 있다.

2) 산학협력업적 점수는 임용만료 4개월 전까지의 충족을 원칙으로 하되, 미충족 시 계약기간 종료시점까지 재임용 점수를 충족하는 경우는 점수를 인정할 수 있다.

3) 산학협력전담교원은 산학협력업적 점수 중 반드시 운영지침 표 1.3의 교원업적평가 기준표(산학협력영역) 산학협력연구활동 연구과제(산학협력 연구비 수혜실적) 점수를 임용기간 동안 인문·사회/·체능 계열은 160(4/백만원) 이상, 자연/공학계열은 320(4/백만원) 이상을 충족시켜야 한다.

 

 

. 전임교원 채용 공통 사항

1) 지원자는 채용 분야별 부가 요건의 필수사항을 모두 충족해야 함(우대 사항은 제외)

2) 공개강의 및 면접 언어를 영어로 지정(온라인 접수시)한 지원자는 심사 시 가점/감점 부여(온라인 지원 시 언어를 선택확정하며, 미선택 시 한국어로 간주)

3) 채용 직급별 임무

 

트랙

주당 강의

임무

급여

계약형태

정년트랙

9시간

ㆍ교육연구업무, 학생지도 등

-본교 급여 규정에 따름, 성과급 별도

-경력에 따라 상이

연봉계약제

비정년트랙

(산학협력전담)

6시간

산학연협력활동, 취창업지원 등

 

 

 

 

 

2. 채용일정

 

. 1차 서류접수

1) 온라인 등록: 2025. 6. 17.()~2025. 7. 1.() 18:00 까지

2) 주의사항: 반드시 온라인 등록 후 최종제출버튼을 클릭해야함

온라인 등록 시 기타업로드 탭에 제출서류(등록자료) 목록(붙임2)을 반드시 업로드해야 함

(업로드 미비로 인한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원자는 온라인 최종 제출 전 최종 확인을 반드시 거쳐 주시기 바랍니다)

. 서류심사합격자(공개강의대상자) 발표(예정): 2025. 7. 16.() 본교 홈페이지(교수채용 공고 게시판)

. 공개강의심사 및 2차 서류접수(예정): 2025. 7. 21.()~2025. 7. 22.()

. 면접심사대상자 및 일정 발표(예정): 2025. 7. 25.()

. 면접심사(예정): 2025. 7. 28.()~2025. 8. 8.() 중 시행

. 최종합격(예정)자 발표(예정): 2025. 8. 13.()

. 임용(예정): 2025. 9. 1.

상기 일정은 제반 여건 및 진행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3. 제출(2) 서류(1차 서류 심사 합격자에 한하여 제출)

. 고등학교 생활기록부’ 1(인근 중고등학교 행정실에서 발급 가능, 2003년 이후 졸업자는 정부24에서 온라인 발급 가능)

. 외국박사학위 취득자인 경우 한국연구재단 박사학위 신고서사본 1(지원시 제출하지 않은 경우)

1) 신고필증이 있는 경우: 신고필증 제출

2) 신고필증이 없는 경우: 한국연구재단 외국박사학위 종합시스템 신고내역 캡쳐화면 인쇄본 제출

참고사항

- 제출처(우편): (28503) 충북 청주시 청원구 대성로 298번지 청주대학교 본관 1층 교수연구지원팀

(문의: 교수연구지원팀 043-229-8039)

- 제출처(메일): pro@cju.ac.kr

 

4. 지원방법

 

. 온라인 등록(URL : http://bit.ly/2Enfz1i)(URL 클릭)

1) 등록내용: 기본신상, 학력사항, 경력사항, 자격사항, 가족사항, 외국어, 학위논문, 국제학술지, 한국연구재단등재지, 학술저서, 특허, 외부연구비, 기타업로드

2) 등록방법

) 온라인 등록 사이트의 탭별로 해당 사항 모두 기재

) ‘기타업로드탭의 증빙 업로드 방법

- 파일명은 “20250201(1)_지원자명_xxxxx.pdf”(xxxxx는 제출서류명)

- 제출서류를 각각 PDF파일로 변환 후 기타업로드탭의 지원제출서류구분 해당 항목에 맞게 업로드(항목 외에 추가로 업로드할 자료가 있는 경우 기타임용제출서류목록표와 기타임용제출서류증빙자료 항목에 업로드)

3) 주의사항:

) 반드시 온라인 등록 후 최종제출버튼을 클릭해야함

) 온라인 등록 시 기타업로드 탭에 제출서류(등록자료) 목록(붙임2)을 반드시 업로드해야 함

(업로드 미비로 인한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원자는 온라인 최종 제출 전 최종 확인을 반드시 거쳐 주시기 바랍니다)

5. 기타사항

임용 예정일은 202591일입니다.

합격자는 본교 교원인사규정에 의거 임용합니다.(정년트랙 경력자의 경우 임용 심사 결과에 따라 상위직급 임용가능)

원서류의 허위, 미비 등에 대한 불이익은 지원자 본인의 책임입니다. 사결과 허위가 발견될 경우 심사대상에서 제외되며, 임용된 경우는 임용을 취소하고 법적 책임을 부과할 수 있습니다.

경력 및 연구실적 관련 제출서류 중 증빙이 미비한 실적은 평가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외국어로 작성된 외국증명서류는 번역 후 본인이 서명하여 제출해야 합니다.

모든 연구실적은 공고일 기준 최근 4년 이내 게재된 연구실적물에 한하여 인정합니다.

전임교원 채용 시 지원자의 현직과 겸직이 불가합니다.

해당 분야에 적격자가 없을 경우 채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유사 전공이라도 채용 학과 및 채용 분야를 중복하여 지원할 수 없습니다.

교육공무원법 제11조의3 1항 및 교육공무원임용령 제4조의3 1, 2항을 준용, 특정대학 학사학위 소지자가 우리 대학교 모집단위의 일정 기준을 초과할 경우 해당 학사학위 소지자의 임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기타 채용절차, 심사기준 및 배점 등은 본교 홈페이지 규정집(rule.cju.ac.kr) 교원신규임용시행세칙, 교원특별채용시행세칙, 비정년트랙 전임교원에 관한 시행세칙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붙임 1. 공고문 1

2. 지원 관련서류(서식 포함) 압축파일 1

 

 

2025617

 

 

청 주 대 학 교 총 장

파일
작성자 교수연구지원팀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