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공기초 | 
     | 
    임상병리연구방법론(Research Methodology in    Diagnostics) | 
    임상병리학 연구에 필요한 연구계획, 연구방법, 통계 및    연구 결과 검증을 이해함으로써 논문작성에 필요한 제반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강의한다.  | 
  
  
    | 전공기초 | 
     | 
    임상병리기술학개론(Introduction of Clinical Diagnostics) | 
    임상병리 전문가로서 갖추어야 할 질환진단에 대한 다양한    진단방법 및 진단에 이용되는 진단지표에 대한 기본지식을 학습한다 | 
  
  
    | 전공기초 | 
     | 
    임상미생물학특론(Advanced Clinical Microbiology) | 
    최근 연구된 임상에서 중요한 세균의 생리, 생태, 분류,    유전등을 포함하는 특성을 배우고 최근의 미생물 연구경향에 대해 이해한다. | 
  
  
    | 전공기초 | 
     | 
    임상혈액학특론(Special Topics in Hematiology) | 
    혈액의 기초이론인 조혈,적혈구,백혈구,응고 및 지혈반응을    담당하는 혈소판의 작용기전을 이해하고, 적혈구, 백혈구 및 혈소판 관련 질환의 진단방법 및 약물등을 이용한 치료법등을 소개한다. | 
  
  
    | 전공기초 | 
     | 
    조직병리학특론(Advanced histopathology) | 
    정상과 질환조직에 대해 조직병리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최근    임상에 응용되거나 개발되고 있는 진단기법에 대해 이론적 배경 및 연구경향에 대해 학습한다.   | 
  
  
    | 전공공통 | 
    임상병리학 | 
    임상병리학세미나I(Current Topics in Clinical Diagnostics) | 
    학위 논문과 관련된 최신의 연구동향과 추세를 고찰하고    임상진단에 적용하기 위한 이론과 실제적 적용방법을 토론한다. | 
  
  
    | 전공공통 | 
    임상병리학 | 
    분자진단학(Molecular Diagnostics) | 
    생명정보를 함유한 유전자의 구조와 기능, 단백질 합성과정,    물질전달 과정 등을 강의하고, 분자수준의 질병진단 원리를 이해하고 실제 진단에의 응용분야를 학습한다. | 
  
  
    | 전공공통 | 
    임상병리학 | 
    임상면역학특론(Advanced Clinical Immunology) | 
    최근 연구동향을 파악하여 감영성 및 면역학적 질환을    진단하는데 필요한 면역학의 원리와 그 연구 방법들을 이해하고 진단에의 활용을 이해한다. | 
  
  
    | 전공공통 | 
    임상병리학 | 
    분자진단학특론(Special Topics in Molecular Diagnostics) | 
    분자생물학적인 기법을 이용한 유전질환 및 감염성 질환등의    진단에 있어서 첨단진단방법에 대하여 최근 연구내용을 이해한다. | 
  
  
    | 전공공통 | 
    임상병리학 | 
    분자병리학(Molecular Pathology) | 
    장기별, 시스템별 주요 질환을 개별적으로 소개하고 그    원인, 발병기전에 대하여 심층 강의하며 분자진단의 병리학적 응용에 대한 최신지견을 강의한다. | 
  
  
    | 전공선택 | 
    임상병리학 | 
    임상화학특론(Special Topics in Clinical Chemistry) | 
    임상화학검사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여러 임상적 관련성있는    진단지표에 대한 새로운 진단기술, 진단기기및 분석방법에 관해 소개한다 | 
  
  
    | 전공선택 | 
    임상병리학 | 
    임상유전학특론(Special Topics in Clinical Genetics) | 
    인간 유전자, 유전병, 발암과정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이해와    더불어 여러 질환에 대한 유전자 치료의 최근 동향과 발전 방향에 대해 강의한다. | 
  
  
    | 전공선택 | 
    임상병리학 | 
    임상바이러스학특론(Advanced Clinical Virology) | 
    감염성 질환 및 종양질환에서의 바이러스 병인론을 비롯한    바이러스의 예방,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를 높이며 최근의 바이러스 진단을 위한 연구동향에 대해 강의한다. | 
  
  
    | 전공선택 | 
    임상병리학 | 
    종양학특론 (Advanced Oncology) | 
    양의 기전을 비롯한 진단 및 치료등 종양의 제반사항에 대해    이해하며 종양진단을 위한 최근의 진단기술 연구경향을 파악하고 발전방향에 대해 강의한다. | 
  
  
    | 전공선택 | 
    임상병리학 | 
    오믹스학(Omics technology) | 
    임상병리진단에 이용될 수 있는 새로운 진단지표를 발굴하기    위한 유전체, 단백체 및 대사체 연구의 분석기법을 이해하고 유전질환 및 감염성 질환등의 진단지표에 발굴에 있어서 최근 연구내용을 이해한다. | 
  
  
    | 전공선택 | 
    임상병리학 | 
    임상병리학세미나II(Current Topics in Clinical Diagnostics) | 
    최근 임상에 적용되거나 또는 이론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첨단    진단기법이나 치료기술의 이론과 적용방법을 이해한다.  | 
  
  
    | 전공선택 | 
    임상병리학 | 
    감염관리학특론(Hospital infection and safety control) | 
    병원 환경에서 감염될 수 있는 질병의 진단과 예방 및    항생제 내성 및 감염관리 기술을 학습한다. | 
  
  
    | 전공선택 | 
    임상병리학 | 
    임상생리학특론(Advanced Clinical Physiology) | 
    최근의 생리학적 검사에서 나타나는 결과로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 후 판정에 중요한 임상적 의의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습득하고 적용방법을 이해한다.  | 
  
  
    | 전공선택 | 
    임상병리학 | 
    진단세포생물학특론(Diagnostic cell biology) | 
    세포 소기관 및 세포막의 형태와 기능, 신호전달, 세포간    상호작용등 최근 연구동향을 학습하고 진단에의 적용방법등을 이해한다. | 
  
  
    | 전공선택 | 
    임상병리학 | 
    임상내분비학특론(Advanced Clinical Endocrinology) | 
    생리활성에 관여하는 내분비인자들(호르몬, 성장인자)의 특성    및 발현을 강의하고, 최신 연구논문 강독을 통하여 미래 연구의 방향을 조명한다.   | 
  
  
    | 전공선택 | 
    임상병리학 | 
    종양면역치료(Tumor Immunotherapy) | 
    종양치료를 위한 표적분자 및 이에 대한 항체치료제의    제조법, 효능분석 및 기준 항암치료와의 병합 치료등 임상적 적용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이해한다. | 
  
  
    | 전공선택 | 
    임상병리학 | 
    항체공학특론(Advanced Antibody Engineering) | 
    최신 항체공학기술의 동향과 항체치료제의 새로운 개발 전략    및 방법을 강의하여 이를 통한 항체 기반 진단기술 개발에 대해 이해한다. | 
  
  
    | 전공선택 | 
    임상병리학 | 
    분자병리학특론(Advanced Molecular Pathology) | 
    염색체 및 유전자와 관련된 질환을 분자병리학적으로 진단하는    방법 및 배경이론등을 최근에 가장 많이 활용하고 유용한 첨단의 병리학 방법을 이해한다. | 
  
  
    | 전공선택 | 
    임상병리학 | 
    분자종양병리학특론(Advanced Molecular Pathology of Tumor) | 
    암종별 특히 유전자나 단백질 변화를 분석하는 기법 뿐만    아니라 환자의 치료방법 결정과 예후추정에 있어서 진단기법의 분석 및 활용에 대해 학습한다. | 
  
  
    | 전공선택 | 
    임상병리학 | 
    오믹스학특론(Advanced Omics Tehnology) | 
    최근 연구경향으로 오믹스 기법을 이용한 질환의 진단,    치료를 위한 분석기법과 지표개발 동향과 임상에서의 적용에 대해 이해한다. | 
  
  
    | 전공선택 | 
    임상병리학 | 
    임상분자생물기법특론(Advanced Molecular Technology) | 
    최근 연구된 임상에 응용되거나 개발되고 있는 첨단의    분자생물학적 진단 또는 치료기법에 대해 이론적 배경, 적용방법 및 연구경향에 대해 학습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