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기초 |
|
영미소설연구(Studies in Briish and American Novels) |
James Joyce, D.H. Lawrence등의 이 시기의 주요작가들의 작품을 선독 연구하다. |
전공기초 |
|
영미시연구(Studies in British and American Poetry) |
영미 주요 작가들의 시를 선독 연구한다. |
전공기초 |
|
영미희곡연구(Studies in British and American Dramas) |
연구 I에서 선독 연구한 작품이외에 다른 작품을 선별 분석 연구한다. |
전공기초 |
|
음운론세미나(Seminar in Phonology) |
음운론의 여러 이론을 종합적으로 비교, 연구한다. |
전공기초 |
|
통사론세미나(Seminar in Syntax) |
통사론에 나타난 여러 이론을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 검토한다. |
전공기초 |
|
영어학세미나(Seminar in English Linguistics) |
영어학 분야중에서 주요 이론을 연구한다. |
전공기초 |
|
의미론세미나(Seminar in Semantics) |
의미론의 여러 이론을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연구한다. |
전공기초 |
|
영문학연구방법론II(Methodology of English Literature II) |
영문학 연구 방법론 I에서 습득된 이론을 바탕으로 영문학 연구 방법론의 제반문제를 심도있게 논의한다. |
전공공통 |
영어영문학 |
영어학연구방법론(Methodology of English Linguistics) |
영어학의 여러 분야의 연구 방법론을 고찰한다. |
전공공통 |
영어영문학 |
응용언어학II(Applied Linguistics II) |
언어 습득 및 언어학습 지도에 관련된 자료를 토대로 음운, 형태, 통사 등의 여러국면에 관련된 현상을 분석하여 교수과정을 응용한다. |
전공공통 |
영어영문학 |
영어문법론연구II(Studies in English Grammar II) |
영어문법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을 다룬다. |
전공공통 |
영어영문학 |
영어교수법연구(Studies in English Education Methodology) |
영어교육의 최근 이론을 다룬다. |
전공공통 |
영어영문학 |
영문학세미나(Seminar in English Literature) |
흥미로운 주제를 선정하여 영국 작가의 작품을 중심으로 토론한다 |
전공공통 |
영어영문학 |
미국소설세미나(Seminar in American Novel) |
특정한 미국작가를 선정하여 그 작가론을 집중적으로 연구한다. |
전공공통 |
영어영문학 |
영미희곡세미나(Seminar in British & American Drama) |
주요 영미 극작가의 대표작을 읽고 그 주제, 기법, 특질 등에 관해 토론한다. |
전공공통 |
영어영문학 |
엘리자베스조의문학연구(Studies in Elizabethan Literature) |
셰익스피어를 제외한 More, Lyiy, Sidney, Spencer 16세기 영국의 주요 작가 및 작품들을 이 시기의 문학의 특성과 아울러 연구한다. |
전공공통 |
영어영문학 |
18세기영소설연구(Studies in Eighteenth Century British Poetry) |
영국소설의 발생 단계로부터 이 시기의 중요 작가의 대표작을 연구한다. |
전공공통 |
영어영문학 |
낭만주의연구(Studies in Romantic Literature) |
유럽 전반의 낭만주의 운동과 영구그이 운동을 비교하고 이 운동을 대표하는 영국 시인들의 주요 작품을 연구한다. |
전공공통 |
영어영문학 |
20세기영시연구(Studies in Twentieth Century British Poetry) |
Yeats, Eliot, Auden 주요 시인의 작품을 연구한다. |
전공공통 |
영어영문학 |
세익스피어연구II(Studies in Shakespeare II) |
연구 I에서 선독한 작품 이외의 주요 작품을 연구한다. |
전공공통 |
영어영문학 |
현대문학이론연구(Studies in Modern Literary Theory) |
현대의 유럽 및 영미문학 이론을 연구한다. |
전공공통 |
영어영문학 |
Victoria조영소설연구(Studies in Victorian Novel) |
Charles Dickens를 비롯한 빅토리아조의 대표작가를 중심으로 작품세계와 사회적 현실의 함수적 관계를 조명해 본다. |
전공공통 |
영어영문학 |
영어학연구(Studies in English Linguistics) |
영어학의 여러 분야의 주요 이론을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한다. |
전공공통 |
영어영문학 |
영어통사론11(English Syntaxii) |
통사론 I에서 습득된 이론을 바탕으로 통사론의 제반문제를 심도있게 논의한다. |
전공공통 |
영어영문학 |
영어음운론11(English Phonology11) |
음운론 I에서 습득된 이론을 바탕으로 음운론의 제반문제를 심도있게 논의한다. |
전공공통 |
영어영문학 |
영어의미론11(English Semantics11) |
의미론 I에서 습득된 이론을 바탕으로 의미론의 제반문제를 심도있게 논의한다. |
전공공통 |
영어영문학 |
영어화용론11(English Pragmatics11) |
영어화용론Ⅰ에서 습득된 이론을 바탕으로 영어화용론의 제반 문제를 심도있게 논의한다. |
전공공통 |
영어영문학 |
언어습득론11(Language Acquisition11) |
언어습득론Ⅰ에서 습득된 이론을 바탕으로 언어습득론의 최근 문제를 심도있게 논의한다. |
전공선택 |
영어영문학 |
영어사(History of English Language) |
|
전공선택 |
영어영문학 |
언어학사(History of Linguistics) |
언어학 이론의 역사적 변천과 그 문학적 배경을 고찰한다. |
전공선택 |
영어영문학 |
언어학과인접학문(Linguistics and Related Disciplines) |
언어학과 인접학문 (논리학, 철학, 심리학, 전산학 등)간의 상호 관계 및 영향을 연구한다. |
전공선택 |
영어영문학 |
고대중세영어(Old and Middle English) |
고대 및 중세 영어의 문법을 연구하고 당시의 대표적인 문학 작품을 연구한다. |
전공선택 |
영어영문학 |
심리언어학II(Psycholinguistics II) |
언어습득, 언어처리, 언어장애 등에 관하여 개괄적으로 연구한다. |
전공선택 |
영어영문학 |
고대영문학연구(Old English Literature) |
Beowulf 등 고대영어로 씌어진 작품과 그 종교적, 문학적 배경을 연구한다. |
전공선택 |
영어영문학 |
영국소설세미나(Seminar in English Novel) |
특정 영국작가를 선정하여 그 작가론을 집중적으로 연구한다. |
전공선택 |
영어영문학 |
미국문학세미나(Seminar in American Literature) |
흥미로운 주제를 선정하여 미국작가의 작품을 중심으로 토론한다. |
전공선택 |
영어영문학 |
미국산문연구(Studies in American Prose) |
미국 문학의 발생기로부터 현대까지의 주요 산문 작가의 작품을 연구한다. |
전공선택 |
영어영문학 |
왕정복고기문학연구(Studies in Restoration) |
이 시기의 희곡 및 John Dryden 의 작품을 읽고 신고전주의 전반을 연구한다. |
전공선택 |
영어영문학 |
유럽희곡세미나(Seminar in European Drama) |
유럽의 주요 극작가의 작품을 읽고 영미 희곡과 상호관계를 연구한다. |
전공선택 |
영어영문학 |
형이상학파시연구(Studies in Metaphysical Poetry) |
John Donne을 비롯한 형이상학파 시인의 작품을 분석하여 그 문학적 특징과 현대시에 미친 영향 등을 살펴본다. |
전공선택 |
영어영문학 |
문학비평론연구(Studies in Lterary Criticism) |
문학 비평의 주요이론과 문제를 고찰한다. |
전공선택 |
영어영문학 |
20세기미국시연구(Studies in Twentieth Century American Poetry) |
Poe, Eliot등 주요 시인의 작품을 연구한다. |
전공선택 |
영어영문학 |
역사언어학II(Historical Linguistics II) |
언어의 역사적 변천과정과 언어간의 제 현상을 비교 연구한다. |
전공선택 |
영어영문학 |
영어통사론111(English Syntax111) |
통사론의 최근 이론들을 연구한다. |
전공선택 |
영어영문학 |
영어의미론111(English Semantics111) |
언어분석에서의 의미론의 역할과 의미론적 문제를 다룬다. |
전공선택 |
영어영문학 |
영어형태론11(English Morphology11) |
형태소의 설정 방법과 어휘 형성규칙을 연구한다. |
전공선택 |
영어영문학 |
영어음성학11(English Phonetics11) |
영어음성학Ⅰ에서 습득된 이론을 바탕으로 영어음성학의 최근 이론을 심도있게 논의한다. |
전공선택 |
영어영문학 |
영어음운론111(English Phonology) |
음운론의 최근 이론들을 연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