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대 타임즈

Total

  • 청대 타임즈
  • Total
Total 상세보기, 제목, 카테고리, 내용, 파일등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제목 [No.238 Campus Story] Introducing the Department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at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카테고리 CampusStory

Introducing the Department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at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The CheongDae Times Newspaper probationary reporter Shinhui Park

 

The Department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at Cheongju University is a representative practical academic field in the social sciences. It focuses on fostering creative talents with balanced problem-solving skills in advertising, public relations, and various related fields. It is a field where students can learn persuasive communication and content, such as public relations and advertising, in a convergent manner.

 

Professor Kim Chul-ho, the head of the Department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said, “The department’s major events such as advertising festivals, advertising camps, and joint festivals, which are held as part of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with major corporations and public institutions, as well as club activities in various fields, help provide practical experience in applying the core theories and knowledge learned in class to practice, and further have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voluntary goal setting and motivation to achieve them, leading to excellent award-winning performance in various national competitions.”

 

The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Department is made up of five clubs in total: one central club and four departmental clubs. The planning clubs include the central club Pineapple, Dream, Hogwarts, and, as for the video club, there is Casanova. AD: Live is a club newly established in 25 years that is the only one in the department where you can learn advertising planning and video production at the same time.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Department Club Photos / Photo = Cheongju University homepage

 

As a student in the Department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you will participate in on-campus and external competitions on various topics. At this time, club activities are a good opportunity to lay the foundation for planning and video, so many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students are actively participating in club activities.

 

In this way, club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in competitions are considered important processes in the Department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However, many students have difficulty with this. To make your life in the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Department more enjoyable and meaningful, we interviewed Pineapple Vice President Yun-seo Kwon, Class of 23.

 

Pineapple is a central club that has been carrying out various activities related to advertising planning since 1995, under the philosophy that good people make good advertisements. We provide various experiences centered on advertising planning to help club members develop their capabilities in the fields of advertising and marketing.

 

Currently, Pineapple handles internal mentoring and menteeing within the club every semester through ‘Pine PT’. For the first semester of 25 years, we invited ‘Korea Insurance News’, a leading insurance journal in Korea, as a client and are conducting ‘Fine PT’ with the theme of ‘Ideas for increasing the MZ generation’s interest in insurance’.

 

Kwon Yun-seo said, “The 15th is the Fine PT event, and the club members will present the plan they prepared themselves in front of the actual people involved. Since Fine PT is held before the Advertising Festival, which is the first academic festival held within the Department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You can gain experience one step ahead of your peers who are first exposed to planning through an academic festival, and you can immediately ask questions and learn about things you don't know through the presence of mentors.” She also expressed her anticipation for Fine PT, saying, “I think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become close with not only my peers but also my seniors during the awkward new semester when students from different grades are mixed to form teams.”

 

Next, when asked about her tips for successfully participating in contests and club activities, she answered, first, to speak actively during meetings; second, when the meeting is not going well, put the laptop down rather than looking at it and talk to team members; and third, hold meetings in the morning or during the day rather than at night.

 

Regarding the reason, she said, “Everyone has different tendencies, but I think that actively speaking up and not hiding your thoughts during meetings helps create good results. Also, when my mind is tangled and I can't figure something out, I close the computer for a moment and share my thoughts with my team members. This can help me discover the core of the part I couldn't figure out. Lastly, it's more efficient to meet during the day rather than at night or in the early morning hours to hold meetings."

 

“I think that the more you experience planning and video production, the more you will get a feel for it, and your skills will improve. Therefore, rather than focusing only on famous and large-scale contests during the lower grades, it is better to participate in contests on various topics, prioritizing quantity over quality.” For this reason, she recommended participating in all the academic festivals held in the department.

 

In particular, she thinks that participating in academic festivals held by the department is not only for the sake of gaining experience, but also as preparation for external competitions. She explained, “External competitions require you to recruit team members and form a team yourself, so you get to experience various seniors, juniors, and peers you meet through academic festival, and based on that experience, you get the chance to find people who are a good fit for you and form a team.”

 

When I asked about her final words, she offered this advice, “In our department, the paths that can be taken after graduation are relatively diverse and wide. While attending school, I think it would be good to try out various activities such as competitions, supporter activities, consumer analysis activities, and design studies to find out what you like and are good at, and to design a specific career path after graduation.”

 

The various activities in the Department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are more than just simple experiences; they are a process of exploring career paths and discovering one's aptitude, so it is important to directly participate in various activities. I hope that the tips I gained from this interview will help you make your life in the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Department more meaningful and enjoyable.




청주대학교 광고홍보학과를 소개하다.

 

청대타임즈신문사 수습기자 박신희

 

청주대학교 광고홍보학과는 사회과학 분야의 대표적인 실용 학문 분야로서, 광고 홍보 및 관련 분야의 다양한 현상에 대한 문제 파악 능력과 문제해결 능력을 균형 있게 갖춘 창의적인 인재 양성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홍보, 광고와 같은 설득 커뮤니케이션과 콘텐츠를 융복합적으로 배울 수 있는 분야이다.

 

광고홍보학과 학과장 김철호 교수는 주요 기업, 공공기관과의 산학협력 차원에서 진행되는 광고제, 광고 캠프, 연합제 등의 학과 주요 행사와, 다양한 분야의 동아리 활동은, 수업에서 배운 핵심 이론과 지식을 실무에 적용하는 실용적 경험에 도움이 되고 있으며, 나아가 학생들의 자발적 목표 설정과 성취 동기부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만들어 주고 있으며 전국 규모의 다양한 공모전에서의 우수한 수상 실적으로 이어지고 있다.”라며 광고홍보학과를 소개했다.

 

광고홍보학과는 중앙동아리 한 개와 학과 동아리 네 개, 총 다섯 개의 동아리로 이루어져 있다. 기획동아리로는 중앙동아리인 파인애플을 포함해 드림, 호그와트가 있으며, 영상 동아리는 카사노바가 있다. 학과 유일 광고 기획과 영상 제작을 동시에 학습할 수 있는 애드리브는 25년도에 새롭게 개설되었다.

 

광고홍보학과 동아리 사진이다./ 사진=청주대학교 홈페이지

 

광고홍보학과 학생이라면 다양한 주제를 가진 교내 공모전과 대외 공모전에 참가하게 된다. 이때 동아리 활동은 기획과 영상에 대한 기초를 다질 좋은 기회이기 때문에 많은 광고홍보학과 학생들이 동아리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처럼 광고홍보학과에서는 동아리 활동과 공모전 참여가 중요한 과정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이에 어려움을 느끼는 학생들도 적지 않다. 더 즐겁고 의미 있는 광고홍보학과 생활을 위해 파인애플 부회장 23학번 권윤서 학생과 인터뷰를 진행했다.

 

파인애플은 좋은 광고를 만드는 좋은 사람들이라는 이념 아래 1995년부터 광고 기획에 대해 다양한 활동들을 이어온 중앙 동아리다. 광고 기획을 중심으로 다양한 경험을 제공해 동아리원들이 광고와 마케팅 분야에서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돕고 있다.

 

현재 파인애플에서는 학기마다 동아리 내에 자체적으로 멘토·멘티 겸 파인 PT’를 진행한다. 251학기의 경우, 대한민국 대표 보험 정론지인 한국 보험 신문을 클라이언트로 초청해 ‘MZ세대의 보험에 관한 관심 증대를 위한 아이디어라는 주제로 파인 PT’를 진행하고 있다.

 

권윤서 학생은 오는 15일이 파인 PT 행사일로 동아리 부원들이 직접 준비한 기획서를 실제 관계자들 앞에서 발표하게 된다. 파인 PT는 광고홍보학과 내에서 진행하는 첫 번째 학술제인 광고제보다도 이전에 진행되기 때문에, 학술제로 처음 기획을 접하는 동기들보다 한발 앞서 경험치를 쌓아갈 수 있고, 멘토들이 존재하여 모르는 부분을 즉각적으로 질문하고 배워갈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학번의 학생들이 섞여 팀이 되기에 어색한 새 학기에 동기는 물론 선배들과도 친해질 기회라 생각한다.”라며 파인 PT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이어 공모전과 동아리 활동을 잘해 나가기 위한 자신만의 팁을 소개했다. 첫째, 회의할 때 적극적으로 이야기하기, 둘째, 회의가 안 풀릴 때는 노트북을 들여다보기보다는 덮어두고 팀원들과 이야기 나누기, 셋째, 밤보다는 아침이나 낮에 만나서 회의 진행하기라 답했다.

 

그 이유에 대해 권윤서 학생은 사람마다 성향이 다르지만, 회의 시간만큼은 자기 생각을 숨기지 말고, 적극적으로 이야기하는 것이 좋은 결과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생각이 꼬여 무언가 풀리지 않을 때 잠시 컴퓨터를 닫고 팀원들과 생각을 나누다 보면 내가 풀지 못한 부분의 핵심을 발견할 수 있고 마지막으로 밤이나 새벽보다는 낮에 만나 회의를 진행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기 때문이다.”라 답했다.

 

또한 기획과 영상 제작이라는 것은 경험하면 할수록 감을 잡게 되고 실력이 는다고 생각한다. 그 때문에 저학년 때는 이름 있는 공모전, 규모가 큰 공모전만을 챙기기보다는 질보다는 양을 우선으로 다양한 주제의 공모전들에 참가해 보는 것이 좋다.”며 과에서 진행되는 학술제는 전부 참여해 보는 것을 권장했다.

 

특히 과에서 진행되는 학술제 참여는 경험치 때문도 있지만 외부 공모전을 위한 준비라고 생각한다며 외부 공모전은 직접 팀원을 섭외하고 팀을 꾸려야 하기에 과 학술제를 통해 만난 다양한 선후배와 동기들을 경험해 보고 그 경험을 바탕으로 나와 잘 맞는 사람을 찾아 팀을 꾸릴 기회가 오기 때문이다.”라며 이유를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을 묻는 말에는 저희 과의 경우에는 졸업 후 나아갈 수 있는 길이 비교적 다양하고 넓은데요, 재학 중에 공모전 외에도 서포터즈 활동, 소비자 분석 활동, 디자인 공부 등 다양한 활동을 해보며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고 잘하는지를 알아보며 졸업 후의 진로를 구체적으로 설계해 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라며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광고홍보학과에서의 다양한 활동은 단순한 경험을 넘어, 진로를 탐색하고 자신의 적성을 발견해 가는 과정인 만큼 여러 활동에 직접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인터뷰를 통해 얻은 팁들이 보다 의미 있고 즐거운 광고홍보학과 생활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파일

담당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