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공기초 |  | 계통분류학(Systematics) | 생물의 분류학에 필요한 이론 기본적 지식 및 방법에 대하여    강의하고, 분류체계를 비교검토하여 생물 분류군의 계통성과 진화적 유연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 전공기초 |  | 세포미세구조론(Cell Ultrastructure) | 세포내 소기관의 구조와 기능과의 관계를 전자현미경적으로    해석하며 이에 대한 세포 또는 분자 수준에서의 변화를 이해한다. | 
  
    | 전공기초 |  | 생화학특론(Advanced Biochemistry) | 생체내에서 일어나는 생화학적 반응과 생리적 현상을 관련시켜    강의한다. | 
  
    | 전공기초 |  | 일반생태학(General Ecology) | 생태계의 구성과 평형, 군집의 구조와 기능, 천이과정,    물질 생산에 있어서 최근 생태학의 논제에 대하여 강의한다. | 
  
    | 전공기초 |  | 미생물학특강(Topics in Microbiology) | 미생물학의 최신 정보를 주제로 하여 미생물의 구조, 기능    및 산업적 이용 등을 연구 검토한다. | 
  
    | 전공기초 |  | 생물학특수연구(Special Research in Biology) | 생물학 각 분야의 특수한 연구방법에 대하여 논의한다. | 
  
    | 전공공통 | 생물학 | 동물분류학특론(Advanced Animal Taxonomy) | 종의 개념을 확립시키고, 분류체계를 계통학적 개념에서    이해하며, 최근 동물분류학의 동향을 살펴본다. | 
  
    | 전공공통 | 생물학 | 동물형태학특론(Advanced Animal Morphology) | 동물의 형태를 계통발생적 원리를 바탕으로 이해하고 이들의    상호관계를 비교 고찰한다. | 
  
    | 전공공통 | 생물학 | 동물대사생리학(Animal Metabolism Physiology) | 동물체내에서의 물질대사에 따른 에너지 대사 및 조절들을    다루고 이를 계통발생학적인 측면에서 이해한다. | 
  
    | 전공공통 | 생물학 | 환경생리학(Environmental Physiology) | 환경요인에 의한 생체의 조절적응, 특히 체온조절,    온냉적응성, 생리적 활동의 주기적 또는 계절적 변화 및 대사물질 조절 등에 대하여 논한다. | 
  
    | 전공공통 | 생물학 | 조류학(Phycology) | 조류에 대하여 분류군별 형태, 발생, 생활사, 생리, 생태    및 미세구조를 공부하고 식별형질을 비교하여 분류학적으로 파악한다. | 
  
    | 전공공통 | 생물학 | 관속식물형태학(Morphology of Vascular Plant) | 양치식물, 나자식물, 및 피자식물의 형태, 생태, 생식 및    생활사에 대하여 강의하고 비교 고찰한다. | 
  
    | 전공공통 | 생물학 | 식물생리학특강(Advanced Plant Physiology) | 식물세포의 미세구조와 대사, 수분이동, 호르몬의 작용 및    기관에 의한 생리현상에 대하여 강의한다. | 
  
    | 전공공통 | 생물학 | 식물조직배양론(Topics in Plant Tissue Culture) | 생리, 육종 및 유전공학과 관련되는 식물의 세포, 조직 및    기관의 배양에 관한 논제에 대하여 고찰하고 유전자의 형질발현에 관한 분자적 측면을 강의한다. | 
  
    | 전공공통 | 생물학 | 환경생물학특강(Advanced Environmental Biology) | 광, 수분, 온도, 무기염류등의 환경요인의 각각에 대한    식물종간의 생리적 반응의 차이가 가져오는 생태적 진화적 중요성에 대하여 논한다. | 
  
    | 전공공통 | 생물학 | 유전학특강(Advanced Genetics) | 유전현상에 대한 기본 원리를 이해하며 개체, 집단 및 분자    수준에서의 유전에 대하여  해석한다. | 
  
    | 전공공통 | 생물학 | 식물분류학특론(Advanced Plant Taxonomy) | 식물의 명명법, 분류방법, 분류학적 문제의 해결방법, 계통    및 진화의 추정방법에 대하여 강의한다. | 
  
    | 전공공통 | 생물학 | 균류학특강(Mycology) | 균류의 분류, 형태, 생리, 생태 및 그 배양 방법에    대하여 강의한다. | 
  
    | 전공선택 | 생물학 | 동물조직학(Animal Histology) | 동물 조직에 대한 기초 지식을 정립시키고, 조직의    입체구조, 분자현상 및 분화 기작을 논한다. | 
  
    | 전공선택 | 생물학 | 동물자극생리학(Animal Stimulus Physiology) | 동물의 수용기생리, 신경생리, 실행기생리 및 내분비를    포함한 자극반응계의 체계적 이론을 파악한다. | 
  
    | 전공선택 | 생물학 | 발생생물학특론(Advanced Developmental Biology) | 배우자 형성으로부터 성체 형성에 이르기까지의 분화,    성장과정에 있어서 형태의 변화와 이와 관련된 생리적 현상을 다룬다. | 
  
    | 전공선택 | 생물학 | 효소학(Enzymology) | 효소의 입체적 구조, 물리학적 성질 및 반응기구를 다룬다. | 
  
    | 전공선택 | 생물학 | 환경미생물학(Environmental Microbiology) | 환경에 관련된 미생물에 대한 분류, 생리, 생태 및 이들    미생물들의 환경문제 처리 방법에 대하여 강의한다. | 
  
    | 전공선택 | 생물학 | 미생물효소학(Microbial Enzymology) | 미생물이 생산하는 효소의 종류와 생산 방법, 특성 등에    대하여 강의한다. | 
  
    | 전공선택 | 생물학 | 관속식물분류학(Taxonomy of Vasular Plants) | 양치류, 나자류 및 피자류 등 유관속식물의 형태, 발생,    생식, 생리, 생태, 진화, 분류 및 계통에 대하여 고찰한다. | 
  
    | 전공선택 | 생물학 | 하등식물학특론(Advanced Botany of Nonvascular Plants) | 세균, 남조, 균류, 지의류, 조류 및 선태류에 대하여    형태, 생식, 생활사, 생리, 생태, 진화 및 계통에 대하여 고찰한다. | 
  
    | 전공선택 | 생물학 | 보전생물학특강(Advanced Conservation Biology) | 생물 종다양성 감소의 생태학적, 유전학적 그리고 사회학적    원인에 대해 공부하고, 보전과 관련된 과학적 원리와 생물학적 방법에 대해 이해시킨다. | 
  
    | 전공선택 | 생물학 | 식물생태학(Plant Ecology) | 식물의 개체, 개체군, 군집의 구조와 분포 패턴을    이해시키고, 이러한 구조와 패턴을 결정하는 결정인자와 그 기작에 대해 강의한다. | 
  
    | 전공선택 | 생물학 | 해양생물학특론(Advanced Marine Biology) | 해양에서 서식하는 생물의 분류, 형태, 생리적 문제를    고찰하고 생태학적 특성에 대하여 강의한다. | 
  
    | 전공선택 | 생물학 | 담수생태학(Limology) | 호소의 분포, 기원 형성, 환경, 물질순화, 플랑크톤,    부식질의 특성, 호소 생태계의 진화, 수중환경 측정에 대하여 강의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