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대 타임즈

Total

  • 청대 타임즈
  • Total
Total 상세보기, 제목, 카테고리, 내용, 파일등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제목 [No.239 Special] 2025, Holiday·Memorial Days of Korea
카테고리 Special

2025, Holiday·Memorial Days of Korea

 

Cheongdae Times Newspaper Regular Reporter

 Min Jung Eun

 

 On May 15, a commemorative event celebrating the birth of King Sejong was successfully held by the Korean Language Culture Center at our university. As many are already aware, May 15 is widely recognized as Teacher’s Day. However, what’s less known is that this date also marks the birthday of King Sejong. Korea has many public and memorial days that are not widely recognized. This article sheds light on some of these lesser-known dates and the significance they hold.

 

April 21 – Science Day

Every year on April 21, Korea celebrates Science Day, a memorial day established in 1967 to rais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While it is not a public holiday, it is an official day recognized by the government and actively commemorated by both public and private science communities.

The date was chosen to mark the first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1967. Since 1968, events commemorating Science Day have been held annually to promote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to encourage public participation in scientific development.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designates April as “Science Month” and hosts a variety of national science and culture programs throughout the month.

During this time, awards for outstanding achievem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are presented, and engaging programs like interactive exhibitions, lectures, and science festivals take place across the country. Especially for students and youth, hands-on science experiences and career exploration programs aim to foster interest in the sciences.

Additionally, national science strategy forums such as the Korea Annual Science and Technology Conference, public access events at research institutions, and regional science festivals serve to highlight the societal and industrial impact of science. These events reinforce the idea that science is a fundamental pillar of modern society.

 

May 15 – King Sejong’s Birthday & Teachers’ Day

 

 ‘King Sejong’s Birthday’ commemorative event held in the plaza in front of our university’s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May 15 is the birthday of King Sejong the Great, the fourth monarch of the Joseon Dynasty, as well as Teachers’ Day in Korea. Born on May 15, 1397 (lunar calendar: April 10), King Sejong is celebrated for his contributions to the Korean language, science, agriculture, and music.

In 2024, the Korean government designated this day as a national commemorative day known as King Sejong’s Birthday. Although not a public holiday, cultural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organize events to honor his legacy and spirit.

Teachers’ Day originated in 1958 when students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visited ill former teachers. In 1963, the date was moved to May 15 to align with King Sejong’s birthday, recognizing his commitment to education and the democratization of knowledge through the invention of Hangul, the Korean alphabet.

 

October 2 – Senior Citizens’ Day

Senior Citizens’ Day is observed annually on October 2 to promote respect for the elderly and raise awareness of their welfare. Established in 1997 under Article 6 of the Welfare of the Aged Act, the date was chosen to avoid overlap with Armed Forces Day on October 1.

The designation was also influenced by global trends—specifically, the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s declaration of International Day of Older Persons on October 1 in 1990. Korea began commemorative events in 1991 and made it an official legal memorial day in 1997.

Events on this day include awards from the President, local government ceremonies, and recognition of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contributing to elderly welfare. Job creation programs, health initiatives, and leisure activities for the elderly are also showcased.

Recent years have seen an emphasis o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fostering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shifting the perception of seniors from passive recipients of welfare to active members of society. Some local governments host integration events or programs that highlight the elderly’s contributions and wisdom as a societal asset.

 

November 11 – Farmers’ Day

Farmers’ Day is a legally designated memorial day in Korea, observed annually on November 11 to honor the importance of agriculture and the dedication of farmers. Initiated by the government in 1996, the date reflects the shape of the Korean character for soil, "토 (To)", as the repeated number 11 resembles the character.

The event traces back to 1964 in Wonseong County, Gangwon Province, where it began as Farmers’ Day on a local level. As public awareness grew through media coverage, the government officially recognized the day in 1996, initially as Fishermen and Farmers’ Day, later renamed Farmers’ Day in 1997.

Each year,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d local governments organize national ceremonies, award ceremonies, agricultural experience programs, and promotional events. In Gyeonggi Province, for instance, awards are given to outstanding farmers and organizations contributing to agricultural competitiveness.

Since 2006, Garaetteok Day (Rice Cake Day) has also been celebrated on the same day,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domestic rice consumption. The long, white rice cake resembles the number 1, tying it symbolically to November 11. Activities include rice cake sharing and rice-based cooking events aimed at promoting awareness and support for Korean rice products.

However, the rising popularity of Pepero Day—a commercially driven celebration also on November 11—has overshadowed Farmers’ Day in public awareness. It’s worth reflecting on how to support agricultural values alongside popular culture—perhaps by choosing to enjoy agricultural products rather than only commercial snacks.

While this article highlights several less-publicized national memorial days, many more,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tinue to shape cultural consciousness. Some stem from historical significance, others from commercial trends—but days rooted in meaningful causes deserve at least a moment’s recognition. Though we may not celebrate every special day, paying attention to a few that matter can make a difference. Therefore, it is not possible to celebrate all the various festivals every year, but it is recommended to take a light look at anniversaries that are meaningful to take care of.




2025, 우리나라 공휴·기념일

생소한 우리나라 공휴·기념일

 

청대타임즈신문사 정기자 민정은

 

지난 515, 우리대학 국어문화원에서 주최한 세종대왕 나신 날기념행사가 성황리에 종료됐다. 다수의 사람이 알고 있듯이 515일은 스승의 날이라는 기념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공휴·기념일로 제정되어 있으나 잘 모르는 경우들이 다수 있다. 이번 기사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은, 생소한 우리나라 공휴·기념일에 대해 알아보자.

 

421, 과학의 날

매년 421일은 우리나라의 과학의 날이다. 이날은 과학기술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 국민의 과학기술 의식을 높이기 위해 제정된 기념일로, 1967년 정부에 의해 공식 지정되었다. 과학의 날은 공휴일로 지정된 것은 아니지만, 정부와 민간 과학기술계가 함께 참여하는 공식 기념일로서 기능하고 있으며, 정부 주관의 공식 기념일이자 국가 과학기술 진흥 정책의 상징적 축으로써 다양한 행사와 함께 해마다 꾸준히 운영되고 있다.

421일이 과학의 날로 정해진 배경으로는 1967421, 설립된 과학기술부 탄생 1주년을 맞이하여 국민들에게 과학기술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 과학기술 발전에 적극적인 동참을 유도하기 위해 1968421일부터 과학의 날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매년 4월을 과학의 달로 지정해, 한 달간 다양한 과학문화 행사를 운영하고 있다. 과학의 날 전후로는 과학기술 유공자 포상, 체험형 전시, 강연회, 과학 축전 등 국민 참여형 프로그램이 전국적으로 진행된다. 특히 학생과 청소년을 위한 과학 진로 체험, 실험 교실 등은 과학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이 외에도 정부와 과학기술계는 과학기술 발전 전략을 공유하는대한민국 과학기술 연차대회’,연구 기관 공개 행사, 지자체 연계 과학축제 등을 통해 과학기술이 사회와 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을 재조명하고 있다. 또한 이는 과학이 전문 영역을 넘어 사회 전반의 중요한 기반임을 확인하는 기회가 되고 있다.

 

515, 세종대왕 탄신일·스승의 날

  

우리대학 경상대학 앞 광장에서 진행된 세종대왕 나신 날기념행사

 

매년 515일은 조선 제4대 임금인 세종대왕의 탄신일이자 스승의 날이다. 세종대왕은 1397년 음력 410, 현재의 양력으로는 515일에 태어났으며, 한글 창제와 과학, 음악, 농업 등 여러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긴 위대한 군주로 평가받고 있다.

2024년부터 정부는 515일을 국가기념일 세종대왕 나신 날로 지정하여 국민들이 세종대왕의 업적과 정신을 기억하도록 하고 있다. 세종대왕 탄신일은 공휴일은 아니지만, 교육계와 문화계에서는 다양한 기념행사가 열린다.

한편, 스승의 날은 1958년 충남의 한 고등학교에서 병중에 있던 은사를 찾아뵙는 활동에서 시작되었다. 이후 1963년부터 세종대왕의 탄신일인 515일로 변경되었다. 이는 세종대왕이 한글 창제를 통해 핵심 교육과 지식 평등을 추구한 교육의 상징이기 때문이다.

 

102, 노인의 날

매년 102일은 노인의 날이다. 이날은 노인의 권익과 복지를 증진하고, 노인에 대한 사회적 존경심과 관심을 높이기 위해 제정된 법정 기념일이다. 1997년부터 노인복지법 제6조에 따라 매년 102일로 지정되었으며, 101일 국군의 날과의 혼선을 피하기 위해 하루 뒤로 정해졌다. 노인의 날의 제정 배경에는 국제적 동향도 영향을 끼쳤다. 1990년 유엔(UN)은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제45차 총회에서 101일을 세계 노인의 날로 지정하였다. 이에 한국도 1991년부터 기념행사를 시작했고, 1997년부터 법정 기념일로 공식화되었다.

노인의 날에는 대통령 표창, 지자체 기념식, 노인복지 유공자 포상 등 다양한 행사가 전국에서 열리며, 노인 일자리 사업, 건강 증진 프로그램, 여가 활동 지원 등도 함께 소개된다. 특히 최근에는 노인의 삶의 질 향상과 세대 간 연대 강화에 초점이 맞춰지며, 노인을 단순한 복지 대상이 아닌 사회의 구성원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확대되고 있다.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세대 통합 행사를 열거나, 지역 내 고령자 사회 공헌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도 한다.

한편, 노인의 날은 경로효친 사상을 현대적으로 계승하는 의미도 내포하고 있다. 이는 단지 가족 내 존경을 넘어, 노인의 사회적 경험과 지혜를 공동체 자산으로 삼아야 한다는 현대적 가치로 발전하고 있다.

 

1111, 농업인의 날

매년 1111일은 우리나라의 법정기념일인 농업인의 날이다. 농업의 중요성과 농업인의 노고를 널리 알리고, 국민적 관심과 존경을 이끌어내기 위해 1996년 정부가 제정하였다. 이날은 흙 토()’ 자의 형상에서 착안하여 1111, 즉 숫자 11이 두 번 반복되는 날로 선택되었다. 흙을 일구는 농업의 본질과 상징성을 가장 잘 드러낸 날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농업인의 날의 기원은 1964년 강원도 원성군에서 농민의 날로 처음 시작된 지역 기념행사였다. 이후 농민신문 등의 보도를 통해 전국적 공감대가 형성되었고, 마침내 1996농어업인의 날로 지정되었다. 1997년에는 명칭을 농업인의 날로 변경하여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 날을 맞이해 농림축산식품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전국적으로 기념식과 시상식, 농업체험 및 홍보행사를 주관하며, 우수 농업인에게 표창을 수여한다. 예를 들어 경기도는 경기도 농업인의 날기념행사를 개최하고, 농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한 농업인과 단체를 선정해 포상하고 있다. 이는 농업인의 자부심 고취는 물론, 농업의 가치 확산을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또한 2006년부터는 가래떡 데이로도 병행 운영되고 있다. 이는 가래떡의 길고 흰 모양이 숫자 1과 유사하다는 점에서 1111일과 연관성을 갖고, 국산 쌀 소비를 늘리자는 의도에서 시작되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날을 계기로 쌀 가공 제품과 우리 쌀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자 가래떡 나눔 행사, 쌀 요리 체험 행사 등을 진행해 오고 있다.

하지만 같은 날인 1111일이 민간기업 중심의 빼빼로 데이로 널리 알려지면서, 농업인의 날이 대중적으로 주목받지 못하는 현실은 과제로 남아 있다. 이에 우리도 상업적 상품인 빼빼로뿐만 아니라, 농업적 산물을 소비하는 하루를 보내보는 것을 추천한다.

 

이 외에도 기재하지 못한 국내의 다양한 공휴·기념일 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 지정된 공휴·기념일 또한 존재한다. 상업적인 목적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기념일도 있지만, 역사적으로 기념할 가치가 있는 일들을 바탕으로 자리매김한 기념일 또한 존재한다. 매년 다양한 모든 축제를 챙길 수는 없지만, 챙길 의미가 있는 기념일은 가볍게라도 챙겨보는 것을 추천한다.

파일

담당자 정보